앞으로 각종 상속재산 조회신청을 한번에 처리하는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를 이용해 건설근로자퇴직공제금 가입여부와 건축물 소유여부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는 사망신고 시(또는 사망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 전국 시·구, 읍·면·동(주민센터)에서 금융거래, 토지, 자동차, 국세·지방세, 국민·공무원·사립학교교직원연금 등 재산을 한 번에 조회신청 할 수 있는 서비스다.
행정안전부가 7일부터 건설근로자퇴직공제금 가입여부 및 건축물 소유여부를 현재 ‘안심상속 원스톱서비스(이하 ‘안심상속서비스’)’ 조회 대상 재산에 추가한다고 4일 밝혔다.
건설일용근로자가 건설근로자공제 가입 건설현장에서 근로하면 일한 일수만큼 공제금을 적립하였다가 청구할 수 있는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가입여부를 조회 신청한다.
건설근로자공제회는 그동안 연 2회 사망자를 확인하여 유족에게 안내문을 발송했으나 유족이 건설근로자와 같이 살고 있지 않거나 이사를 한 경우에는 주소 등의 확인이 어려워 정확한 안내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 재산조회 대상에 추가됨으로써 적시에 유족에게 안내가 가능해져 사망건설근로자 유족의 수급권 보호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근로자퇴직공제금 가입여부 결과는 신청인 문자 및 건설근로자공제회 홈페이지에서 결과조회가 가능하다.
국토부는 건축물 소유여부를 전국조회할 수 있도록 제도를 도입하고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동안 상속인 및 후견인이 사망자 및 피후견인의 재산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재산 소재지 자치단체에 방문하여 조회했으나 사망자 및 피후견인의 재산조회를 할 수 있도록 건축법(제32조)을 개정하고 시스템을 구축해 안심상속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건축물 소유여부 결과에 대하여는 방문할 때는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 신청 할 때는 문자와 우편으로 결과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2015년 6월 이후 총 34만9000명이 안심상속 서비스의 혜택을 누렸다.
행정안전부 김일재 정부혁신조직실장은 “건설근로자퇴직공제금 가입여부 조회와 같은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도움 되는 서비스를 발굴하고 건축물 소유여부 조회 같은 국민편의 제공서비스를 개선하는 등 국민이 보다 편리하게 원스톱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슈있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LS전선, 말레이에 국내 첫 해저케이블 공급 (0) | 2018.09.04 |
---|---|
KT, 25% 할인 선택약정 중도해지 위약금 축소 (0) | 2018.09.04 |
목적지까지 한 번 결제로 가능한 교통시대 열린다 (0) | 2018.09.04 |
어린이통학버스 안전 장치 설치에 46억 예산 지원 (0) | 2018.09.04 |
현대차, 중국 시장 회복세... 8월 판매 전년 대비 9.2% 증가 (0) | 2018.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