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청년·일반으로 연령·계층별 구분을 통해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
국토교통부는 그간 연령·계층 구분없이 종합적인 주거복지정보를 제공해 오던 마이홈 앱을 신혼부부, 청년, 일반에 대한 맞춤형 정보로 새롭게 단장해 9일부터 제공한다고 밝혔다.
마이홈 앱 메인화면은 신혼부부, 청년, 일반으로 구분해 바로 접근이 가능토록 하고, 계층별로 관심이 높은 정보만을 뽑아내어 원하는 정보를 보다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했다.
신혼부부는 ‘신혼부부 주거지원’ 항목에서 행복주택, 공공임대, 공공분양 등의 주택 및 금융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임대주택의 경우 각 유형별 세부항목으로 들어가면 임대조건, 입주자격, 신청절차 등 정보가 제공된다.
또한 해당 임대주택 화면에서 ‘임대주택 모집공고’, ‘기존임대주택’ 화면으로 바로 연결되도록 구성해 이용자가 따로 모집공고를 찾는 수고가 덜어진다.
대학생 등 청년층도 ‘청년 주거지원’ 항목에서 청년전세임대, 행복주택, 공공기숙사 등의 주택 및 금융정보를 바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금지원’ 항목으로 들어가면 청년층 맞춤형 주택금융인 주거안정월세대출 등에 대한 대출대상, 금리, 신청절차, 취급은행 등 상세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혼부부 화면과 마찬가지로 각 유형별 임대주택 화면에서 ‘임대주택 모집공고’, ‘기존임대주택’ 화면으로 바로 연결되도록 했다.
이와 더불어 앱 회원에 가입한 이용자는 모바일 앱 알림 기능(푸시 서비스)을 통해 모집공고, 신규 정책 등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주거복지 정책정보 외에도 주택구입 및 전·월세 계약절차 시 확인사항, 주택임대차 분쟁위원회 이용 정보 등을 새롭게 제공하고, 부동산 중개수수료 안내 및 계산 기능 등도 추가하여 이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그 외에도, ‘주거복지마당’에서 지방자치단체별로 제공하고 있는 각종 복지 혜택 및 지원 사업들을 간편하게 조회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했다.
‘마이홈’은 각종 주거지원 정보를 통합 상담·안내하기 위해 2015년 12월부터 구축·운영 중으로 인터넷 포털과 모바일 앱 외에도 전국 52곳의 지역별 상담실과 전화 상담실(1600-1004)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찾아가는 주거상담 등 여러 채널을 통해 마이홈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마이홈 포털·앱 이용자에 대한 특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실질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슈있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약서 발암의심물질 검출... 219개 제품 판매 중지 (0) | 2018.07.09 |
---|---|
남양주~잠실 잇는 'M버스’신설… 인천~역삼은 10월 운행 (0) | 2018.07.09 |
'썰전' 하차에도 서점가는 ‘유시민 열풍’ 계속된다 (0) | 2018.07.06 |
유럽·중국 등 홍역유행 … 여행전 반드시 예방접종 (0) | 2018.07.06 |
‘몰카는 범죄, 보는 순간 당신도 공범’ 디지털 성범죄 STOP! (0) | 2018.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