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이동권 및 안전할 권리 보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지하철 역사 내 장애인 안전·편의시설이 미흡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하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지하철 역사 35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장애인 편의시설 안전실태 조사결과, 대다수가 승강장과 지하철 간 간격 넓거나 높아 휠체어 이용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지하철 역사 35개소(서울 14개·경기 1개·인천 4개·부산 4개·대구 4개·광주 4개·대전 4개)를 대상으로 승강장과 휠체어 전용 좌석이 설치된 지하철 객실 간 간격 및 높이를 측정한 결과, 30개소(85.7%)는 기준 간격(5cm 이내)을 준수하지 않았고 최대 15cm에 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10개소(28.6%)는 승강장과 지하철 간 높이가 1.5cm를 초과하고 최대 3cm까지 측정돼 지하철 승·하차 시 휠체어 이용자 등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기준 간격보다 넓은 30개소 중 18개소(60.0%)는 ‘간격이 넓다’는 주의표지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내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 시설 개선 시급하다.
34개소(에스컬레이터가 없는 1개소 제외) 중 26개소(76.5%)는 에스컬레이터 진행 반대 방향 진입 시 경고음이 울리지 않았고, 수평고정손잡이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31개소 중 15개소(48.4%)는 점자표지판이 없어 개선이 시급했다.
35개소 중 6개소(17.1%)는 엘리베이터 문이 닫힐 때 움직임을 감지해 문이 열리는 광감지식 개폐장치가, 21개소(60.0%)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황을 안내하는 음향신호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문 끼임 등 안전사고 위험이 높았다.
장애인이 경사형 휠체어 리프트를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역무원을 호출해야 하며, 호출버튼은 계단과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경사형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된 11개소의 역무원 호출버튼과 계단과의 거리는 평균 114cm이었고 61cm에 불과한 곳도 있어 추락사고 발생이 우려되었고, 3개소(27.3%)는 호출버튼이 작동되지 않아 휠체어 리프트 사용이 어려웠다.
역사 출입구 70곳 중 엘리베이터가 없어 휠체어 출입이 어려운 31곳의 이동편의시설 안내표지 설치 여부를 조사한 결과, 12곳(38.7%)이 안내표지가 없거나 있어도 이동 편의시설의 위치가 표시되어있지 않아 휠체어 이용자가 역내로 진입하기 어려웠다.
환승구간 26개소 중 9개소(34.6%)는 엘리베이터에 ‘환승’ 또는 ‘나가는 곳’ 등 출입구에 대한 안내가 없어 휠체어 이용자의 환승이 쉽지 않았고, 환승 이동수단이 고장났음에도 안내표시가 없어 환승로를 다시 되돌아와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지하철 내 장애인 안전·편의시설 개선 및 관리·감독 강화 및 지하철 내 장애인 안전시설 설치 기준(에스컬레이터 역방향 진입 시 경고음 장치 설치·엘리베이터 광감지식 개폐장치 설치 의무화 등) 마련 등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한국소비자원 제공
'이슈있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키장 사고 1월 급증... “보호장비 반드시 착용” (0) | 2018.12.21 |
---|---|
‘연이자 732%’ 뜯어낸 불법사채조직 검거 (0) | 2018.12.18 |
어린이들 좋아하는 초콜릿 ’카페인 과다’ 주의보 (0) | 2018.12.17 |
지문으로 차 문열고 시동까지... 현대차 세계 최초 개발 (0) | 2018.12.17 |
국민 혈세로 만들어놓고 방치... ‘공공앱’ 139개 폐지 (0) | 2018.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