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83.5%는 남북통일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통일로 인한 이익이 클 것’이라는 응답은 64.6%로 국민 상당수가 통일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남북관계에 대한 인식 여론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북한은 ‘위협 대상’인 동시에 ‘협력 대상’… 상반된 인식 공존
북한 주민을 한민족으로 인식하는지에 대해 “그렇다”라는 응답은 83.6%로 “그렇지 않다”(16.4%)라는 응답을 크게 상회해 국민들의 북한 주민에 대한 포용적 인식을 보여줬다.
그러나 북한에 대해서는 ▲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는 대상(78.4%), ▲ 우리가 경계해야 할 대상(70.2%)이라는 부정적 응답과 ▲ 우리가 힘을 합쳐 협력해야 할 대상(77.6%), ▲ 궁극적으로 통일의 대상(76.3%)이라는 긍정적 응답이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 북한에 대한 상충된 인식이 공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마찬가지로 북한의 향후 변화에 대해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개혁·개방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은 85.1%로 높은 반면 북한의 핵·미사일 포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포기할 것’이라는 전망(33.7%)보다 ‘포기하지 않을 것’(43.2%)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우세했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위해 남북 간 협력, 북한의 비핵화 조치 우선 필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가장 중요한 협력에 대해서는 ‘남북 간 협력’(70.9%)이라는 응답이 한미 간 협력(17.6%), 북미 간 협력(8.8%)보다 월등히 높았다.
최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 북한의 비핵화 조치(63.8%)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 평화협정 체결(38.0%), ▲ 남북 간 경제협력(31.6%), ▲ 북한의 개혁/개방(27.0%), ▲ 남북 간 이산가족 상봉(24.5%) 순으로 조사됐다.
현재·미래 안보 상황, 현 정부 외교·안보 정책 ‘긍정 평가’ 우세
평소 안보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었는지 질문한 결과 “그렇다”라는 응답이 88.0%로 나타나 남북·북미 정상회담 국면을 거치며 높아진 국민들의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의 안보상황에 대해 ‘안정적’이라고 보는 의견은 52.9%로 “불안정하다”(47.1%)라는 의견보다 다소 높았으며 내년도 안보상황에 대해서는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이 84.2%로 미래 한반도 안보 상황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보여줬다.
현 정부 외교·안보 정책에 대해 “잘하고 있다”라는 긍정 평가 역시 75.1%로 높았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여론조사는 남북관계가 크게 변화하는 현 상황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했다”며, “조사 결과가 대북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공유하고 올해 안에 두 차례 조사를 추가로 실시해 국민 여론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여론조사는 6월 29일(금)부터 7월 6일(금)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국민 1,52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방법은 컴퓨터를 이용한 웹 조사(CAWI: Computer Assisted Web Interview)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5%포인트이다.
'이슈있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대·탑폰·생리컵 사용법, 동영상으로 안전하고 올바르게 (0) | 2018.08.01 |
---|---|
‘웅~’ 스트레스 유발하는 저주파 소음도 관리 단속 (0) | 2018.08.01 |
'자동차 뽑기운' 사라질까?... 한국형 레몬법 내년 시행 (0) | 2018.07.31 |
가장 아름다운 소하천으로 전남 영광 ‘앵곡천’ 선정 (0) | 2018.07.31 |
전국 미분양 전월대비 3.7% 증가... 수도권은 소폭 감소 (0) | 2018.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