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보다 칼슘·단백질이 풍부한 조피볼락 미역국으로 산후조리하고, 순비기나무 열매를 탈모 치료에 사용하는 등 전남 섬 지역의 전통지식 2,600여 건이 발굴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자원과 전통지식의 보호·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역에서 구전 전통지식을 조사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진은 전라남도 신안·진도·완도군 지역 105개 마을에 거주하는 어르신 300여 명(평균연령 80.9세)과 면담을 통해 생물자원 386종의 전통지식 2,600여 건을 발굴했다.
이 중에는 참갑오징어 뼈(갑)를 갈아 지혈제로 사용하거나, 미역과 비슷한 해조류인 곰피로 빨래비누를 대신한 지식이 눈에 띈다.
참갑오징어 뼈에 있는 탄산칼슘 성분이 지혈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공기 중 산소와 만나면 열이 발생하는 탄산칼슘은 혈액의 수분을 증발시켜 혈액을 빠르게 굳게 만든다.
곰피는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는 당이나 지질과 같은 천연 성분이 많아 비누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신안군 도초·비금면, 진도군 도조·임회면, 완도군 보길·소안·청산면 등 해안지역에서는 벼멸구를 퇴치할 때 고래의 한 종인 상괭이의 기름을 사용하고, 산후조리에 즐겨 먹던 미역국에 소고기 대신 생선 조피볼락을 넣었다.
상괭이의 기름에는 살충 성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양볼락과 어류인 조피볼락에는 칼슘과 단백질 성분이 소고기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칼슘은 소고기보다 5배 정도 많다.
완도군과 진도군의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순비기나무의 줄기와 잎을 삶아 그 물로 두드러기 등 피부질환을 치료했다는 지식도 있다.
마편초과에 속하는 순비기나무는 폴리페놀, 타우린과 같은 항산화·항균 성분이 풍부하여 피부질환에 이용되어 온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선조 때의 의학서인 '의림촬요(醫林撮要)'에도 순비기나무 열매인 만형자(蔓荊子)를 탈모 치료에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에 발굴한 전통지식 2,600여 건 중에 80종의 동·식물과 관련된 생물자원 이용지식 174건을 수록한 자료집 '남도인의 삶에 깃든 생물이야기'를 5월 15일에 발간한다.
이 자료집에는 구전 전통지식뿐만 아니라 생물의 사진, 일반적인 특징, 고문헌에 기록된 내용 등을 담았다.
'남도인의 삶에 깃든 생물이야기'는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http://www.nibr.go.kr) 생물다양성 이북(E-book) 코너에서 볼 수 있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우리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생물자원과 이와 관련한 전통지식이 산업적으로도 활용 가능한 귀중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슈있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 살 버릇 여든까지… 손씻기·기침예절 조기교육 (0) | 2018.05.16 |
---|---|
3D 실감형 콘텐츠 개발에 416억 투자… 재난 훈련 등에 활용 (0) | 2018.05.16 |
수도권 출퇴근 시간 1시간 30분... 나홀로 차량 82% 증가 (0) | 2018.05.16 |
[오늘의 띠별 운세] 2018년 5월 16일 (0) | 2018.05.16 |
블록체인 캠퍼스, 판교에 개설... 전문인력 키운다 (0) | 2018.05.15 |